장애인 복지정책 한눈에! 활동지원·연금·주거·에너지·자립자금 혜택 총정리

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활동지원, 연금, 주거환경, 에너지바우처, 자립자금대여까지 꼭 필요한 정보만 담았습니다. 빠르게 장애인 복지정책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.











1.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지원대상과 월 지원금액

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신체적·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, 국가가 월 60만원에서 최대 180만원(구간별 월 최대 798만원까지 가능)의 활동보조서비스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지원대상
- 만 6세 이상 65세 미만 등록 장애인
- 활동지원 종합조사점수 42점 이상
- 시설 거주자, 장기요양급여 수급자 등은 일부 제한

지원금액 및 구간

구간종합점수월 한도액(원)월 지원시간
1구간465점 이상7,980,000480시간
5구간345~375점5,986,000360시간
10구간195~225점3,492,000210시간
15구간42~75점1,000,00060시간

주요 서비스
- 신체활동 지원(식사, 위생, 옷 갈아입기 등)
- 가사 지원(청소, 세탁, 요리 등)
- 사회활동 지원(병원 동행, 통학 등)
- 방문목욕, 방문간호

본인부담금
- 기초생활수급자: 면제
- 차상위계층: 월 2만원 정액
- 일반: 소득에 따라 월 17~20만원 내외

2. 중증장애인연금 신청자격과 최대 지급액 안내

중증장애인연금은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(1급, 2급, 3급 중복 장애)이 소득·재산 기준을 충족할 때 매월 최대 38만원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
신청자격
- 만 18세 이상 등록 중증장애인
-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122만원, 부부가구 195.2만원 이하

지급액(2025년 기준)

구분기초급여(월)부가급여(월)합계(월 최대)
기초생활수급자307,50080,000387,500
차상위계층307,50070,000377,500
일반307,50020,000327,500

신청방법
- 주소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
- 신분증, 통장사본, 소득·재산 증빙서류 등 필요

지급일
- 매월 20일 본인 계좌로 입금(공휴일 시 앞당겨 지급)

3. 주거환경개선사업 화장실 개조비용 지원 기준

주거환경개선사업은 장애인, 저소득층,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화장실 개조비용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.

지원대상
- 등록 장애인,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, 고령자 등
- 실제 거주자(소유자·임차인 모두 가능, 임차인은 집주인 동의 필요)

지원내용
- 노후 화장실 리모델링(변기, 세면대, 바닥, 문 등 교체)
- 안전손잡이, 미끄럼 방지, 문턱 제거, 휠체어 진입 구조 변경
- 조명, 환기시설, 급수·배수관 개선 등

지원한도
- 화장실 1곳 기준 최대 500만원(공사비, 자재비, 시공비 포함)
- 추가 공사 시 별도 심사 후 지원 가능

신청방법
- 관할 주민센터, 시·군·구청 복지부서 방문 또는 전화 문의
- 신청서, 신분증, 자격 증빙서류, 임대차계약서 등 제출

4. 에너지바우처 취약계층 냉난방비 지원방법

에너지바우처는 취약계층의 냉난방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연 최대 19만원(가구원 수에 따라 최대 70만원까지 가능)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
지원대상
-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
-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, 노인, 장애인, 중증질환자 등

지원금액(2025년 기준)

가구원수연 최대 지원금액(원)
1인295,200
2인407,500
3인532,700
4인 이상701,300

사용방법
- 전기, 도시가스, 지역난방, 등유, LPG, 연탄 등 에너지 비용 결제
- 실물카드(국민행복카드) 결제 또는 요금고지서 자동 차감
- 하절기(7~9월), 동절기(10~5월) 자유롭게 사용

신청방법
- 매년 5~12월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
- 신분증, 수급자 증명서류, 가족관계증명서 등 필요

5. 장애인자립자금대여 저금리 대출 조건과 활용법

장애인자립자금대여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최대 5천만원까지 저금리(연 2%)로 대출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
지원대상
- 만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
- 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50% 초과 100% 이하
- 신용상 결격사유 없는 자

대출조건(2025년 기준)

구분대출한도(원)금리(연)상환방법
무보증1,500만원2%5년 거치 5년 분할
담보5,000만원2%5년 거치 5년 분할

용도
- 창업자금, 생업자금, 자동차 구입, 기술훈련비, 보조기기 구입, 의료비 등

신청방법
- 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- 자격 심사 후 지정 금융기관 방문하여 대여 신청

마무리

이처럼 장애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 정책은 활동지원, 연금, 주거환경개선, 에너지바우처, 자립자금대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. 각 제도의 자격조건, 지원금액, 신청방법을 꼼꼼히 확인해 본인과 가족에게 꼭 맞는 혜택을 빠짐없이 챙기시길 바랍니다. 궁금한 점은 가까운 주민센터, 복지로 홈페이지, 각 담당기관에서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
다음 이전